과거기사 달력>>2012년 2월 24일기사 목록
조선의 오랜 축구전통
(평양 2월 24일발 조선중앙통신)축구는 오랜 력사를 가지고있는 운동종목의 하나이다.

1843년 처음으로 경기규칙을 명문화하고 축구구락부를 조직한 영국을 흔히 근대축구의 발상지로 꼽고있다.

하지만 B.C. 206년경에 중국에서는 축구와 비슷한 경기가 있었다.

놀라운것은 중국의 옛 문헌인 《구당서》에 고구려사람들이 공을 잘 찬다는 대목이 있고 《삼국사기》, 《삼국유사》에도 신라시기의 화랑들이 축구시합을 곧잘했다는 기록이 전해지고있는것이다.

《축국》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세나라시기의 이 민속놀이는 넓은 공지에 장대를 량쪽에 세워놓고 그우에 그물을 친 후 7~8명씩 짝을 지어 가죽주머니로 만든 공을 발로 차서 그물우로 넘기는 방식으로 진행되였다.

그런즉 조선의 축국은 현대의 축구와 럭비, 롱구 등이 적당히 절충된 전통적민속놀이였다고 볼수 있다.

1897년 조선에서 있었던 최초의 현대축구시합에서도 이 민속놀이의 흔적이 나타났다.

그때 선수들은 갓을 벗고 망건차림에 배자를 입고 짚신을 신은채 경기장에 나왔는데 인원수는 제한이 없었고 두 팀의 인원이 같으면 되였다.

꼴문은 없었고 공이 문지기 머리우로 넘어가기만 하면 득점으로 인정하였다.

경기시간도 제한이 없어 기진맥진하여 쓰러진 선수들이 많아 경기를 더이상 할수없을때까지 진행되였다.

당시 《척구》라고 불리웠던 이 최초의 서양식축구경기에 참가한 선수들은 주로 외국어학교출신들과 궁내부의 어전통변인(통역관)들이였다.

서양교사들로부터 외국어와 함께 체육을 배운 이들은 그후 《대한척구구락부》를 만들어 현대축구를 국내에 보급하는데 이바지하였다.

이처럼 조선은 오랜 축구전통을 가지고있다.(끝)

Copyright (C) KOREA NEWS SERVICE(KNS) All Rights Reserved.